-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두 번째 이야기
-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세 번째 이야기
-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네 번째 이야기
-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다섯 번째 이야기
- 2012/09/12 수원 화성행궁 다녀왔습니다. 여섯 번째 이야기
분수가 있는 천 한쪽에는 다리 위에 이렇게 건물이 있었습니다.
그 때 마침 수원 화성 열차가 지나가더군요. 그래서 한 컷 찍었습니다.^^
그 열차는 천을 따라 갔습니다.
건물 위로 올라서니 이렇게 마루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거기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었습니다. 여름에는 아마 많은 사람들이 피서를 즐기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이렇게 경치를 구경하면서 말입니다.
마루 밑에는 이렇게 문으로 잠겨져 있는 빈 공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을 북수문이라고 부른답니다.
경치 좋지 않나요?
조금 더 걸어가니 북암문이 보였습니다.
그 옆에는 방화수류정이라는 곳이 보였습니다.
그 곳은 조금 높은 곳에 있어서인지 주위 경치가 잘 보였습니다. 여기도 올라갈 수 있기에 여름 피서로 매우 좋은 곳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하나 특이한 것은 저기에는 안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는 점입니다. 무엇을 담아 두었을까요?
북암문 위에는 이렇게 길이 있더군요. 거기서 한 컷 찍었습니다.
앞에서 보았던 비석과 비슷한 비석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성벽을 따라 걸어갔습니다.
동북포루도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성벽을 따라 계속 걸어갔습니다.
조금 더 가니 동암문이 보였습니다. 여기는 확실히 암문처럼 보였습니다. 필요하면 문이 뚫려도 양쪽 계단 등에서 입구를 막으면 되겠더군요.^^
조금 더 걸어가니 연무대가 보였습니다.
그곳은 화성열차가 정차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화성열차 운행시간표가 보이더군요.
그리고 여기서는 국궁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국궁을 체험하고 있었습니다. 저도 할까 했으나 피곤하기도 하고 아직 못 본 것들이 많아서 하지 않았습니다.
그 옆에 있는 동장대에 가보았습니다.
군사 요충지라고 하던 그 곳은 현재 유치원생들이 뛰어 놀고 있더군요. 조선 시대 때 사람들은 이런 것을 상상했을까요?^^
그래도 나름 투석과 화포를 전시하여 이 곳이 군사 요충지였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성벽을 따라 걸어갔습니다.